본문 바로가기

Music

Buddy - Black (Feat. A$AP Ferg)


Buddy - Black (Feat. A$AP Ferg)

여백이 많은 비트 위를 내달리는 속사포 랩. 힙합의 클래식과도 같은 구성이지만, 최근에는 보기 힘들었다. 비트도 비트지만, 속사포 랩이라는 형태 자체가 서서히 구시대의 것이 되고 있는 탓이다. 로직 같은 래퍼가 이따금씩 보여주긴 하지만, 그렇다고 속사포 랩이 트랜디한 요소는 아니다. 멈블랩 류의 랩이 자리를 잡은 곳에서, 속사포 랩은 그 흔적 조차 찾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메인스트림의 흐름이 한쪽으로 심하게 기운 요즘이다. 그럼에도 일부 래퍼는 연어처럼 시류를 거슬러 오른다. 멈블랩이 아닌 랩과 사회적 가치를 담은 음악으로 청자를 꾸준히 사로 잡는다. 이 분야의 대표적인 예는 켄드릭 라마와 로직 등이지만, 버디 역시 해당 영역에서 존재감을 보여주는 뮤지션이다. 트렌디하지만 전형적인 힙합에서는 조금 벗어난 곡을 쓰는 프로듀서 케이트라나다와의 협업으로 탄생한 "Find Me", 감상적인 분위기와 강인한 드럼 사운드의 조합이 인상적이었던 "That Much" 등은 버디의 개성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트랙이다. 그리고 새로 나온 "Black" 역시 이 곡들과 당당히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정도의 개성과 완성도를 갖췄다. 

사실 "Black"은 특기할만한 사항이 많은 곡은 아니다. 심플한 비트는 단순한 구성과  어두운 분위기를 자아내고, 곡 여기저기서 터지는 'Black'이라는 단어가 조금 눈에 띌 뿐이다. 하지만 이런 몇 가지 요소의 조합이 버디의 목소리와 플로우를 타고 스피커로 흘러 나오는 순간 각 요소는 모두 특별한 무언가로 변모한다. 촌스러울 수 있는 속사포 랩은 트렌디한 랩 스타일로 변하고, 단조롭고 심플한 후렴의 구성은 강렬한 발음의 끊임 없는 나열로 청차의 뇌리 깊게 박힌다. 이런 변화의 양상은 단어나 표현 몇가지를 통해 글로 담아내기는 조금 무리가 따른다. 아티스트가 랩을 하는 방식, 톤을 만들어 놓은 방법, 비트와의 조화 등은 모두 아티스트가 지닌 개성과 긴밀히 관련된 부분인 탓이다.

버디는 특별한 무언가를 가지고 있는 래퍼다. 촉망받는 유망주로 조명 받았던 몇년 전부터, 에이셉 퍼그와 함께 곡을 내는 지금에 이르기까지, 버디는 자신만의 균형 감각을 토대로 음악계의 조류를 헤쳐가고 있다. 그리고 그 방식은 분명 주목할만하다. 수많은 레이블 중엣도 콜롬비아 산하 퍼렐의 'I Am Other'와 계약을 맺고 활동하는 건 단순히 우연이 아니다. 그리고 'Black'은 그에 대한 기대가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곡이다.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